대통령은 왕이 아니다👑 – 공직자의 본질을 다시 묻다
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
반응형

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입니다.


이 말은 국민이 주인이라는 뜻입니다.

 

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대통령이 곧 국가, 장관은 권력자, 공무원은 통치자처럼 여겨지는 이상한 인식이 사회를 지배하기 시작했습니다.

 

이 글에서는 대통령과 공무원의 본질, 그들이 가져야 할 태도, 그리고 시민의 시선과 권리에 대해 함께 고민해봅니다.


📌 대통령은 ‘선출된 관리자’다

 

대통령은 국가의 수반이지만, 국민이 고용한 ‘5년 임기의 최고 공무원’입니다.

 

그가 행사하는 권한은 헌법과 법률이 위임한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며, 개인의 의지나 감정, 취향에 따라 움직일 수 없습니다.

 

  • 왕은 존재를 숭배하지만,
  • 대통령은 결과를 평가받는 자리입니다.

 

지지하든 반대하든, 대통령은 ‘평가의 대상’이지 숭배나 충성의 대상이 아닙니다.


🏛️ 공무원이란 누구인가?

 

공무원은 국민의 세금으로 월급을 받는 ‘국가의 대리인’입니다.


이들은 권력을 행사하는 자가 아니라, 국민의 권리를 구현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.

 

공무원이 갖춰야 할 태도

 

  • 공공성: 개인이나 소속 조직보다 ‘국민 전체의 이익’을 우선
  • 투명성: 자신의 권한과 판단을 늘 기록하고 설명 가능해야 함
  • 겸손: 국민과의 관계는 ‘권위’가 아니라 ‘책임’이어야 함

 

그들이 쓰는 예산, 집행하는 정책, 내리는 결정은 모두 국민의 몫을 대신 운용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.


🙋 국민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?

 

국민은 공무원의 고객이 아니라 고용주입니다.


국민의 세금이 없었다면, 그 자리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.

 

  • “비판은 무례가 아니다.” 감시와 질문은 시민의 당연한 권리입니다.
  • “충성하지 말고, 감시하라.” 진짜 민주주의는 국민이 날마다 ‘정치’를 감시할 때 완성됩니다.
  • “권력자가 아니라 공복으로 대하자.” 언론·SNS·투표는 모두 행동의 수단입니다.

 

공무원은 책임을 져야 하고, 국민은 권리를 행사해야 합니다.


💬 마무리: 왕의 시대는 끝났다. 이제는 시민의 시대다.

 

왕은 피의 계승으로 탄생하지만, 대통령과 공무원은 국민의 위임으로만 존재합니다.

 

우리가 대통령을 평가하고, 공무원을 감시하고, 세금을 질문할 수 있는 사회가 진짜 ‘대한민국’이라는 공동체의 모습입니다.

 

이제는 묻고 따지는 국민이 민주주의를 움직이는 엔진이 되어야 할 때입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