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입니다.
이 말은 국민이 주인이라는 뜻입니다.
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대통령이 곧 국가, 장관은 권력자, 공무원은 통치자처럼 여겨지는 이상한 인식이 사회를 지배하기 시작했습니다.
이 글에서는 대통령과 공무원의 본질, 그들이 가져야 할 태도, 그리고 시민의 시선과 권리에 대해 함께 고민해봅니다.
📌 대통령은 ‘선출된 관리자’다
대통령은 국가의 수반이지만, 국민이 고용한 ‘5년 임기의 최고 공무원’입니다.
그가 행사하는 권한은 헌법과 법률이 위임한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며, 개인의 의지나 감정, 취향에 따라 움직일 수 없습니다.
- 왕은 존재를 숭배하지만,
- 대통령은 결과를 평가받는 자리입니다.
지지하든 반대하든, 대통령은 ‘평가의 대상’이지 숭배나 충성의 대상이 아닙니다.
🏛️ 공무원이란 누구인가?
공무원은 국민의 세금으로 월급을 받는 ‘국가의 대리인’입니다.
이들은 권력을 행사하는 자가 아니라, 국민의 권리를 구현하는 사람이어야 합니다.
공무원이 갖춰야 할 태도
- 공공성: 개인이나 소속 조직보다 ‘국민 전체의 이익’을 우선
- 투명성: 자신의 권한과 판단을 늘 기록하고 설명 가능해야 함
- 겸손: 국민과의 관계는 ‘권위’가 아니라 ‘책임’이어야 함
그들이 쓰는 예산, 집행하는 정책, 내리는 결정은 모두 국민의 몫을 대신 운용하는 행위이기 때문입니다.
🙋 국민은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까?
국민은 공무원의 고객이 아니라 고용주입니다.
국민의 세금이 없었다면, 그 자리는 존재할 수 없습니다.
- “비판은 무례가 아니다.” 감시와 질문은 시민의 당연한 권리입니다.
- “충성하지 말고, 감시하라.” 진짜 민주주의는 국민이 날마다 ‘정치’를 감시할 때 완성됩니다.
- “권력자가 아니라 공복으로 대하자.” 언론·SNS·투표는 모두 행동의 수단입니다.
공무원은 책임을 져야 하고, 국민은 권리를 행사해야 합니다.
💬 마무리: 왕의 시대는 끝났다. 이제는 시민의 시대다.
왕은 피의 계승으로 탄생하지만, 대통령과 공무원은 국민의 위임으로만 존재합니다.
우리가 대통령을 평가하고, 공무원을 감시하고, 세금을 질문할 수 있는 사회가 진짜 ‘대한민국’이라는 공동체의 모습입니다.
이제는 묻고 따지는 국민이 민주주의를 움직이는 엔진이 되어야 할 때입니다.
'인사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✍ 영어 공부, 왜 받아쓰기가 중요할까? (3) | 2025.06.11 |
---|---|
🤝 고객과 사장님, ‘돈 주고 받는 사이’ 이상이 될 수 있을까? (0) | 2025.06.10 |
💢 잘못했을 때 ‘혼나는 것’은 왜 당연하게 여겨질까? (2) | 2025.06.04 |
🤱 “손 탄다?” 아기를 안아주면 정말 버릇이 나빠질까요? (0) | 2025.06.02 |
👜 7주차 아기 외출 시 꼭 챙겨야 할 현실템 리스트 (0) | 2025.05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