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“실수는 누구나 하는 거잖아.”
“책임은 알겠는데, 왜 감정 섞인 말까지 들어야 하지?”
누군가가 일을 잘못했을 때, 우리는 종종 정정하는 것 이상을 하곤 합니다.
지적, 비난, 고성, 감정적 표현… 그리고 그걸 당한 사람조차 나중엔 이렇게 말하죠.
“혼날만 했어요.”
이 글은 바로 그 “혼낸다”는 것의 본질과 우리가 왜 그것을 너무도 당연하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.
📌 실수는 ‘알려주면’ 된다
누군가가 실수를 했을 때, 사실 필요한 건 ‘정보’입니다.
“이건 이렇게 했어야 돼.” “이 상황에서는 이걸 먼저 확인했어야지.”
이런 설명만으로도 실수는 대부분 고쳐집니다. 의도적으로 일을 망치려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이죠.
그런데도 왜 우리는 혼을 내야 한다고 느낄까요?
💢 혼낸다는 것의 본질은 ‘감정 처리’다
혼낸다는 것은 단순히 ‘잘못을 고치는 행위’가 아닙니다.
그 순간, 누군가의 감정이 개입된 표현입니다.
- 답답함
- 실망감
- 불안
- 자기 체면 손상
이런 감정들이 “말로는 안 되겠다”는 폭발 지점에 이르면 우리는 타인을 ‘가르치는 척’하며 감정을 발산합니다.
그래서 혼내는 말투에는 정보보다 분위기와 무게가 더 실립니다.
🤔 그런데 왜 다들 그걸 정당하다고 느낄까?
사회는 오랫동안 “혼나야 정신 차린다”, “맞아야 안다”는 위계 중심의 교육 문화에 익숙했습니다.
그래서 우리는 혼내는 쪽도, 혼나는 쪽도 “이건 나를 위한 과정이야”라고 받아들이게 되었죠.
그 안에는 다음과 같은 심리가 숨어 있습니다.
- 권위의 작동: 감정을 동반한 꾸짖음은 관계의 위계를 강화합니다.
- 자기방어 심리: 혼내는 사람이 “나는 책임을 다했다”고 느낄 수 있게 합니다.
- 공동체 정당화: “우리도 다 그렇게 배웠다”는 사회적 정서
하지만, 혼났다고 반드시 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.
오히려 사람은 정보보다는 감정을 먼저 기억합니다.
그 울컥했던 말투, 자존감이 꺾였던 순간이 일보다 오래 남기도 하죠.
✔ 혼내는 대신 해야 할 것들
잘못을 지적하고, 책임을 나누는 건 필요합니다. 하지만 그 방식은 ‘감정적 발산’이 아닌 ‘명확한 안내’여야 합니다.
- ❌ “왜 그랬어?” → ✅ “이런 경우엔 이렇게 하는 게 좋아”
- ❌ “다시 해 와” → ✅ “이 부분만 수정해보자”
- ❌ “정신 안 차리냐” → ✅ “이유가 있었던 거야?”
혼내는 방식은 지식이 아닌 위축을 남깁니다.
그리고 위축된 사람은 변화보다 방어에 먼저 반응합니다.
💬 마무리: 잘못을 알려주는 것과, 혼내는 건 다릅니다
사람은 감정을 가진 존재입니다.
그리고 실수는 감정을 나무라기보다, 정보로 보완해야 바뀔 수 있습니다.
우리는 혼내는 문화를 당연하게 여기며 자라왔지만, 다음 세대엔 더 건강한 방식으로 다가갈 수 있길 바랍니다.
오늘도 누군가가 실수했을 때, 혼내기보다 설명해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.
'인사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🤝 고객과 사장님, ‘돈 주고 받는 사이’ 이상이 될 수 있을까? (0) | 2025.06.10 |
---|---|
대통령은 왕이 아니다👑 – 공직자의 본질을 다시 묻다 (3) | 2025.06.09 |
🤱 “손 탄다?” 아기를 안아주면 정말 버릇이 나빠질까요? (0) | 2025.06.02 |
👜 7주차 아기 외출 시 꼭 챙겨야 할 현실템 리스트 (0) | 2025.05.29 |
👶👴 아기와 치매 노인, 닮았지만 너무도 다른 두 시선 (0) | 2025.05.28 |